추월차선 아이디어를 발견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대원칙 2가지
추월차선 아이디어 발견과 가치 창출의 원천은 다음 두 가지다.
1. 혁신: 새로운 길
2. 개선: 기존의 길을 더 좋게
새로운 길을 찾거나, 기존의 길을 더 좋게 하는 것이다.
상세 발견 법 13가지
1. 불평에서 기회 발견
- 사람들이 쉽게 내뱉는 '이건 형편없어요', '내가 왜 해야 하나요?' '이건 위험하지 않나요? 어렵지 않나요?' 등
툴툴거리는 소리에서 아이디어를 찾을 수 있다. 그 불평들을 면밀히 검토해서 내가 해결할 수 있고 개선할 수 있다면 된다.
2. 불편을 개선
- 1번과 이어지는 내용이다. 불편을 개선해서 편의성을 증대하면 그 자체로서 상품이 될 수 있다.
3. 복잡하고 어려운 것을 단순화
- 복잡해 단순화가 필요한 것은 무엇이든지 기회다. 사람들은 쉬운 것을 좋아한다. '클릭 한 번으로 월급만큼 벌기' 같은 문구에 사람들이 열광하는 이유다.
4. 필요와 무관하게 원하는 것
- 항상 필요로 하는 것만 원하는 것은 아니다. 람보르기니, 최신 아이폰, 크리스찬 루부탱 구두는 욕구와 충동을 충족시키기 위해 구매된다. 허영, 사치, 오락, 패션 분야에 해당된다. 수요가 마케팅에 좌지우지되기 때문에 기회가 풍성하다.
5. 나쁜 서비스에서 좋은 서비스
- 허술한 고객 서비스는 기회다. 아무도 함부로 취급되는 것을 좋아하지 않지만, 기업의 입장에서는 그런 서비스를 표준으로 삼고 있다. 그런 땅에 걸어 들어가서, 완전히 동일한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고객들을 왕처럼 떠받들면 생산적인 가치 만들기 중 일등공신이 된다.
6. 지리적 차익거래
- 지리적 차익거래에서 당신은 거주 지역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것을 온라인 마켓플레이스(이베이, 아마존, 엣시 등)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매출을 올릴 수 있다. 물론 지리적 차액거래는 지속가능성이 약한 편이지만, 제품이 언제 어디서 어떻게 팔리느냐에 따라 상대적 가치가 바뀔 수 있음을 잘 보여준다. 또한 지리적 차액거래는 경험과 자본이 둘 다 필요한 경우 훌륭한 자립 수단이 될 수 있다.
7. 군중 먹거리 제공(진입 계명 예외 조항)
- 금광 앞에서 곡괭이를 파는 것. 군중 먹이기는 진입의 계명으로부터 나오는 것이다. 진입의 계명이 위반되는 곳에 기회가 있다.
8. 가치 차익(수리해서 비싸게)
- 1+1+1+1은 4가 아니라 5이다. 그 증분적 차이는 당신의 이윤이다. 낡은 집을 사서 리모델링하거나, 형편없는 웹사이트를 사들이고 개선하여 상당한 이윤을 붙여 판다. 가치 차액거래는 가치가 꾸준히 증가하는 모든 거래에 해당한다.
9. 용도 변경을 통한 가치
- 아무런 쓸모가 없어 보이는 목재와 카펫을 결합하여 비싼 캣타워를 만들 수 있다. 수거하고, 재활용하고, 용도를 변경하여 가치를 창출한다.
10. 마케팅 차익거래
- 이미 잘 팔리고 있는 물건, 사업에 약간의 마케팅을 더하면 큰 이익의 증가를 노릴 수 있다. 이를 통해 차익거래를 실현한다. 이윤 증대의 잠재력을 지닌 수천의 상품들이 제대로 된 마케팅의 손길을 기다리고 있다.
11. 과도한 자본주의를 이용
- 수익의 극대화, 이윤을 극단적으로 늘리기 위해 이미 잘 나가는 기업에서 비용 절감이나 가치 증대 없는 가격 인상을 단행한다. 이것을 기회로 활용할 수 있다. 유기농 상품, 무항생제 식품 등이 예시가 된다.
12. 이해관계자의 강등
- 기업이 커지면 이해관계가 많아지고 '규모의 경제'로써 유리한 점이 많아지지만 반대로, 고객을 왕으로 모시는 소규모의 기업보다 발 빠른 대처가 힘들다. 천억 달러 규모의 산업에서 0.01퍼센트만 차지해도 백만 달러의 사업을 구축할 수 있다.
13. 개선과 제거
- 에디슨은 전구의 수명을 늘리는 개선을 이뤄 전구의 사용화를 가능하게 했다. 반대로 '파라벤이 들어 있지 않은 스킨 컨디셔너'와 같은 제거를 통해 더 나은 가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일 카네기 - 인간관계론 (0) | 2023.02.21 |
---|---|
[독서] 트렌드 코리아 2023 (0) | 2022.12.08 |
미라클 모닝 밀리어네어 (2) | 2022.09.09 |
돈 찍어내고 두 다리 뻗고 잘 자는 법(1) (2) | 2022.08.20 |
댓글